재무, 금융

회사의 형태 및 특징 (Forms of business organizations)

헬몽 2022. 8. 11. 10:26

 

오늘은 사업을 시작하기 전 회사의 종류 및 장단점을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미국에서 기업조직의 종류는 총 4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Sole Proprietorship (개인기업)

2. Partnership (합명회사)

3. Corporation (기업)

4. Limited Liability Company (유한책임회사)

 

 

Sole Proprietorship (개인기업)

현재 가장 많은 기업의 형태가 Sole Proprietorship 즉 개인기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에 따르면 "개인기업이란 법인이나 단체가 아닌 개인이 혼자 소유 ·경영하거나 법인격을 갖추지 않고 2인 이상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사업체" 를 말한다고 나와 있어서 헷갈릴 수 있지만, 미국에선 1인 이상의 대표가 있으면 개인기업이 될 수 없습니다.

 

개인기업의 특징을 3가지로 간추려 본다면

1. 한 명의 대표로 쉽게 시작할 수 있지만, 소유권을 옮기기 쉽지 않습니다.

2. 법적 책임이 한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Unlimited Liability *무한책임)

3. Single taxation

 

 

Partnership (합명회사)

네이버 지식백과에 따르면 "합명회사란 두 사람 이상의 자금(능력)과 기술이 결합되어 이익 및 손실의 분배를 하는 조직체. 조합원은 회사의 채무에 직접 연대해 변제할 책임을 갖는 무한책임 사원으로 구성된다" 라고 나와있네요.

 

합명회사의 특징을 3가지로 간추려 본다면

1. 개인기업과 같이 쉽게 시작할 수 있지만 소유권을 옮기기 쉽지 않습니다.

2. 두 종류로 나뉩니다. Gernal partnership, Limited Parnetship (Silent Partner 이라고도 불립니다.)

3. Single taxation

 

General partnership

모든 파트너가 일상 업무를 같이 보는 것을 말합니다.

법적 책임과 재정적 책임이 서로 공유됩니다.

 

Limited Partnership

단어에서 유추할 수 있듯, 동일한 책임을 공유하지 않는 파트너와 함께하는 형태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General partner가 최소 한 명이 있어야 하며, 한 명의 limited partner 가 있어야 이 관계가 형성됩니다.

 

 

Corporation (기업)

오늘날 가장 발달한 기업의 형태입니다. 저희가 쉽게 떠올릴 수 있는 기업들은 대부분 Corporation 형태입니다.

 

기업회사의 특징을 3가지로 간추려보면

1. 설립절차가 복잡하기 때문에 쉽게 시작할 수 없습니다. (Articals of incorporation *정관)

2. 법적 책임이 한정되어 있습니다. (Limited liability *유한책임)

3. Double taxation. (이중과세)

 

대략 20% 정도의 기업의 형태가 Corporation 이며 전체 기업 수익의 80%이상이 이 형태에서 나옵니다.

기업의 소유주는 주주가 됩니다.

 

 

Limited Liability Company (유한책임회사)

네이버 지식백과에 따르면 "주식회사처럼 출자자들이 유한책임을 지면서도 이사나 감사를 의무적으로 선임하지 않아도 되는 등 회사의 설립·운영과 구성 등에서 사적인 영역을 폭 넓게 인정하는 회사 형태이다. " 라고 나와 있네요.

 

유한책임회사의 특징을 3가지로 간추려보면

1. 합명회사(Partnership) 와 기업(corporation)을 합친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 세금을 (Partnership) 합명회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지불합니다.

3. 법적 책임이 한정되어 있습니다. (Unlimited Liability *무한책임)

 

이러한 형태를 가지는 회사들은 기업의(Corporation)형태처럼 소유주가 주주(Shareholder)가 되는 것이 아닌 처음 회사를 설립할 때 함께 한 구성원(members) 이 소유주가 됩니다.

 

'재무,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차대조표 이해하기(Balance Sheet)  (0) 2022.08.11